7월 29일 자정, 전면 휴전 발효

2025년 7월 24일부터 본격화된 태국과 캄보디아 간의 국경 무력 충돌은, 7월 28일 말레이시아 푸트라자야에서 열린 긴급 정상회담을 통해 7월 29일 0시(자정)부터 휴전이 발효되며 일단락되었습니다.
회담은 말레이시아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의 중재 아래 성사되었으며, 캄보디아 측에서는 훈 마넷 총리, 태국 측에서는 품탐 위차야차이 임시 총리가 참석하여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휴전에 합의하였습니다.

태국 임시 총리 품탐 위차야차이
사망자 32명, 피난민 20만 명…심각한 인도적 피해
약 5일간 이어진 군사 충돌은 민간 지역까지 포격이 확산되며 다수의 인명 피해를 초래하였습니다.
- 태국: 사망자 19명(민간인 13명 포함), 부상자 62명 이상
- 캄보디아: 사망자 13명(군인 5명, 민간인 8명), 부상자 약 50명
- 피난민 수: 약 20만 명 이상이 국경 지역에서 대피
어린이 사망 사례까지 발생하면서, 국제사회는 분쟁의 인도적 위기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하였습니다.
결정적 변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카드’
이번 합의의 전환점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개입이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태국과 캄보디아 정상과의 직접 통화를 통해, 분쟁이 지속될 경우 8월 1일부터 최대 36%의 수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미국이 양국과의 모든 무역 협상을 중단하고, 상호 수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초강경 조치를 통보한 것입니다.
이러한 경고 이후, 그동안 회담에 소극적이던 태국 측이 입장을 급선회하며 말레이시아 회담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알려졌습니다.
신뢰 회복은 여전히 과제…외교적 후속 논의 이어질 전망
휴전은 성사되었지만, 양국 간 외교적 긴장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 태국은 이번 사태의 책임이 캄보디아 측에 있다고 주장하며 외교적 반발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반면, 캄보디아는 태국군의 국경 병력 재배치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말레이시아는 양국 외무장관 회담과 군 고위급 회의, 나아가 다국적 감시단 파견 등을 제안하며 중재 노력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경제 압박이 이끈 평화, 그러나 지속 가능성은 미지수
이번 사태는 단순한 국지적 충돌을 넘어, 경제·외교·군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현대적 분쟁의 사례로 평가됩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무력 개입이 아닌 관세 경고라는 경제 수단으로 외교적 해법을 유도했다는 점은 향후 글로벌 분쟁 대응 방식에 시사점을 남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휴전이 일시적 봉합에 불과할지, 아니면 지속 가능한 평화의 출발점이 될지는 앞으로의 후속 회담과 상호 신뢰 회복에 달려 있습니다.
https://shorturl.fm/KeVJ4
https://shorturl.fm/LVGhx
https://shorturl.fm/sFY3N
https://shorturl.fm/Z7B7Y
https://shorturl.fm/Jvprn
https://shorturl.fm/sst5U
https://shorturl.fm/N7z33
https://shorturl.fm/WBSaw
https://shorturl.fm/orV9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