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직접 급유’…중국이 실전 적용

2025년 7월, 중국이 ‘SJEN-25’ 위성을 통해 세계 최초로 정지궤도 위성 간 연료 주입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습니다.
이는 ‘스젠 21호’와의 도킹 이후, 하이드라진 연료를 직접 주입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궤도상에서 위성 추진 기능을 되살리는 데 성공했다는 분석이 뒤따르고 있습니다.
중국은 이번 실험을 사전 공지 없이 비공개로 수행했으며, 해외 우주 추적 전문기관(COMSPOC, s2a 등)을 통해 도킹 후 분리, 궤도 변경 등의 급유 증거가 추정되며 세계 안보 전문가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단순 기술 아닌 전략 무기…‘우주 작전의 기동성과 지속성’ 확보
중국의 급유 기술은 단순히 위성의 수명을 늘리는 수준이 아닙니다.
급유를 통해 연료가 고갈된 위성의 추진 기능을 부활시키는 것이며, 이로써 위성은 다시 독립적으로 궤도 변경·기동·작전 수행이 가능해집니다.
이러한 기술은 감시·정찰 위성뿐 아니라, 향후 전자전용 위성, ASAT(위성 요격 무기) 등 군사 위성의 지속 운용 능력과 작전 유연성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반이 됩니다.
특히 위성 요격 무기가 단발 자살형에서 복수 표적 기동형 무기로 진화할 수 있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MEV-2는 ‘간접 급유’…중국과의 차이 분명

/ 노스럽그루먼
미국의 방위산업체 노스럽 그러먼(Northrop Grumman)은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MEV-1’, ‘MEV-2’를 발사해, 수명이 다한 정지궤도 위성(Intelsat)과 도킹해 자체 추진력으로 궤도 유지를 지원하는 방식의 수명 연장을 성공시킨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연료를 직접 주입하는 것이 아니며, 견인차처럼 뒤에 붙어 움직이는 구조에 가까워 ‘간접 급유’로 평가됩니다.
즉, 기존 위성의 내부 추진 시스템을 살리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급유(refueling) 기술과는 차별됩니다.
이에 반해 중국의 SJ-25는 위성과 도킹한 후, 액체 연료를 밀봉된 연결라인을 통해 직접 주입하는 구조로 작동하며, 압력·누설 제어 등 고난도 기술이 수반되는 ‘직접 급유 방식’입니다. 이는 기술적 완성도와 군사적 전략성에서 전혀 다른 급의 성과입니다.
美 우주군은 아직 실험 단계…中 기술 선도 평가

현재 미국 우주군(Space Force)은 2026년 실전급 급유 실험을 예고하고 있으며, 민간기업 Orbit Fab도 내년 상반기 GEO 급유 서비스를 추진 중입니다.
그러나 중국은 이미 급유 임무를 정지궤도에서 실전급으로 수행한 것으로 보이며, 전문가들은 이를 기술 선도 확보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중국은 우주 작전 지속 능력 + 전략적 기동성이라는 두 가지 핵심 전력을 동시에 확보한 셈이며, 이는 향후 우주 군사력 확대와 주도권 확보의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미국 내 안보 전문가들은 “중국이 마침내 우주 작전의 핵심 역량을 갖추기 시작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위성 기술이 아니라, ‘우주 전력 체계’ 구축의 신호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중국은 이번 임무를 통해 기술적 조용한 진보로 전략적 우위를 차근차근 축적해온 모습이며,
이제 우주는 탐사의 공간을 넘어, 실질적인 ‘군사 패권 전장’으로 현실화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