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이 ‘드론’이 되는 시대

중국에서 꿀벌을 조종해 정찰 활동에 활용하려는 기술이 개발되어 세계적인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꿀벌의 등에 초소형 뇌 조종 장치를 장착해 마치 드론처럼 비행을 조종하는 방식인데요. 이 장치는 무게가 고작 74밀리 그램에 불과하며, 꿀벌의 뇌에 전기 자극을 줘 비행 방향과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실제 실험에서는 직진, 회전 등 다양한 동작을 90% 이상의 정확도로 수행했다고 보고됐습니다. 이제 생물을 기계처럼 활용하는 ‘사이보그 생물’의 시대가 도래한 것입니다.
꿀보다 가벼운 조종 장치
이 기술은 베이징이공대 자오제량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장치의 무게는 74mg으로, 꿀벌이 짊어지는 꿀보다도 가볍습니다.
벌의 등에 부착된 이 장치는 뇌의 특정 부위에 미세한 전기 자극을 주는 방식으로, 생명체를 해치지 않고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싱가포르에서 개발된 비슷한 기술보다 더 작고 정밀하며, 조종 효율도 크게 향상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정찰, 구조, 감시까지… 무궁무진한 활용

이 기술이 충격적인 이유는 단순히 꿀벌을 제어했다는 데 그치지 않고, 생명체를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 있습니다.
실제로 이 기술은 군사 정찰, 재난 구조, 마약 탐지, 대테러 작전 등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이 가능합니다.
드론이 진입할 수 없는 환풍구나 틈, 폐쇄 공간 등에 꿀벌을 투입해 별도의 센서 없이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꿀벌은 전 세계 어디서나 자연스럽게 존재하는 곤충으로, 사람의 시선이나 감시카메라에 거의 포착되지 않아 ‘완벽한 위장 정찰체’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처럼 조종된 꿀벌은 위험 지역으로 침투해 특정 물질(예: 화학약품, 폭발물)을 감지하거나, 타겟 위치를 추적하는 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기술은 발전했지만, 윤리는 어디에?
하지만 이 기술이 단지 과학의 진보로만 받아들여지기는 어렵습니다.
생명체의 뇌를 자극해 의지와 무관하게 움직이게 만드는 방식은 생명윤리적 논란을 피하기 어렵고,
나아가 악용될 경우 주요 시설에 침투하거나 국가 기밀을 탈취하는 안보 위협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충분합니다.
더욱이 이 기술이 중국에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군사적 목적으로의 활용 가능성, 그리고 감시나 정보 수집과 같은 전략적 악용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사이보그 생물 시대, 통제가 필요하다
지금은 단순한 로봇을 넘어 ‘사이보그 곤충’이 현실이 되는 시대입니다.
기술의 눈부신 진화는 분명 놀랍지만, 우리는 그만큼 이 기술이 가져올 사회적·윤리적 파장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합니다.
지나치게 빠른 기술 확산은 통제를 앞서갈 수 있고, 책임 없는 발전은 결국 위험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이제는 생명과 기술의 경계에서, 어디까지가 가능하고 어디부터가 넘지 말아야 할 선인지 우리 모두가 생각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