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인상…내년 최저임금은 10,320원

2025년 7월 10일, 최저임금위원회가 2026년 적용 최저임금을 다음과 같이 결정했습니다.
- 시간당 금액: 10,320원
- 전년 대비 인상액: +290원
- 인상률: 2.9%
- 적용 기간: 2026년 1월 1일 ~ 12월 31일
- 월 환산액: 약 2,156,880원 (월 209시간 기준)
- 역대 인상률 비교: 제도 도입 이후 7~8번째로 낮은 수준
이번 결정은 ‘물가 부담과 경기 침체를 고려한 조정’이라는 평가와 함께, 일부 노동계로부터는 실질 생계비 반영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습니다.
노사, 17년 만에 합의 도출…의미는?
이번 결정의 핵심은 노사 양측의 극적인 합의 도출입니다.
최저임금위원회는 회의 말미 다수 찬성으로 의결을 마쳤으며, 노·사·공익위원이 모두 참여한 17년 만의 합의 구조라는 점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다만, 민주노총 추천 위원 4명은 표결에 참여하지 않고 퇴장해 이견을 드러냈으며, 전면적 동의는 아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립보다 협의를 택한 이번 결정은 최저임금 논의의 새로운 국면을 예고합니다.
최근 10년간 인상률 추이로 본 흐름
최저임금 인상률은 한국 경제의 민감한 바로미터입니다.
아래는 최근 11년간의 최저임금 인상 흐름을 정리한 표입니다:
연도 | 최저임금 | 인상률 |
---|---|---|
2016 | 6,030원 | +8.1% |
2017 | 6,470원 | +7.3% |
2018 | 7,530원 | +16.4% |
2019 | 8,350원 | +10.9% |
2020 | 8,590원 | +2.87% |
2021 | 8,720원 | +1.5% |
2022 | 9,160원 | +5.05% |
2023 | 9,620원 | +5.0% |
2024 | 9,860원 | +2.5% |
2025 | 10,030원 | +1.7% |
2026 | 10,320원 | +2.9% |
🔍 분석 요약
- 2018~2019년 급격한 인상 후, 최근 5년은 완만한 상승곡선을 유지
- 2025년은 역대 최저 인상률(1.7%) 중 하나였으며
- 2026년은 그보단 높지만 여전히 보수적인 조정 흐름에 속함
앞으로의 적용 시기와 정책 후속 과제
법정 절차에 따라 고용노동부는 8월 5일까지 최저임금 고시를 완료해야 하며, 결정된 금액은 2026년 1월 1일부터 전면 시행됩니다.
이는 곧 음식·숙박업, 제조업, 편의점, 청소용역 등 저임금 구조 중심 업종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하지만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엇갈리고 있습니다.
- 노동계: 실질 생계비 반영 미흡
- 소상공인 측: 인상폭 수용 가능
- 정부: 자영업자 보호 및 고용 안정책 병행 필요
지속 가능한 최저임금 제도를 위해서는 단순 인상 여부를 넘어, 임금구조의 전반적 개편과 사회안전망 확충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