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리보 젤리서 THC 대마성분 검출…유럽 전역 리콜 조치, 한국 식약처·하리보코리아 입장은?

2025년 5월, 유럽 시장에서 판매된 하리보 젤리 일부 제품에서 THC(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 성분이 검출되어 식품 안전 논란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네덜란드 당국은 해당 제품에 대해 즉각적인 전량 리콜 조치를 발표하였으며, 이는 어린이 및 일반 소비자들이 즐겨 찾는 브랜드라는 점에서 사회적 파장도 상당한 상황입니다.


📌 하리보는 어떤 기업인가요?

하리보(HARIBO)는 1920년 독일에서 한스 리겔(Hans Riegel)에 의해 설립된 글로벌 제과 브랜드입니다.
브랜드명은 창립자의 이름과 도시 이름인 본(Bonn)을 결합한 것으로, ‘골든베어(곰젤리)’ 제품으로 세계적인 인지도를 확보한 젤리 전문 업체입니다.

현재 100개국 이상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유럽, 북미, 아시아 등 글로벌 간식 시장을 선도하는 대표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어린이뿐 아니라 성인층에서도 인기 있는 브랜드라는 점에서, 이번 사건은 그 파급력이 상당하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무엇이 문제였나요?

네덜란드 식품·소비자제품안전청(NVWA)은 하리보가 생산한 ‘해피 콜라 피즈(Happy Cola F!ZZ)’ 젤리에서 정신 활성 성분인 THC가 검출되었음을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이 성분은 마약류 관리법상 환각 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금지 성분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식품에는 절대로 포함되어서는 안 되는 물질입니다.

실제 해당 제품을 섭취한 일부 소비자들이 어지럼증, 혼란 증세, 이상 반응 등을 호소한 사례가 보고되면서, NVWA는 해당 제품에 대해 유통 중단 및 전량 회수 명령을 내렸습니다.
유럽 현지에서는 해당 사건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식품 위생 및 수입통제 체계 전반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리콜 대상 제품 상세 정보

문제가 된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품명: 해피 콜라 피즈 (Happy Cola F!ZZ)
  • 포장 단위: 1kg 대용량
  • 유통기한: 2026년 1월
  • 생산 코드: L341-4002307906

현지 조사 결과, 최소 3봉지에서 THC가 검출되었으며, 예방 차원에서 동일 코드 제품 전량이 리콜 대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네덜란드 외에도 벨기에, 독일 등지에서도 추가 검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 소비자는 안전한가요?

이번 사태에 대해 하리보 코리아와 식약처는 국내 유통 제품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문제의 제품은 한국에 수입된 적이 없으며, 현재 국내에서 유통 중인 하리보 제품은 모두 정상적인 수입·검사 절차를 거친 제품”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사전 대응 차원에서 국내 유통 제품에 대한 추가적인 샘플링 검사 및 품질 점검도 실시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하리보 본사 및 하리보코리아의 입장

하리보 본사는 “소비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해당 사건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공식 성명을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오염 경로에 대한 정밀 조사 및 내부 생산공정 검토가 진행 중이며, 유사 사례 방지를 위해 품질관리 시스템을 전면 점검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국내 대응에 나선 하리보코리아는 “THC가 검출된 제품은 한국에 정식 수입되지 않았다”면서, “국내 유통망에서는 해당 제품의 판매 흔적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소비자 문의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상담센터를 통해 정보 제공 및 제품 확인 절차도 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식약처의 후속 대응은?

식약처는 향후 유사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수입식품 통관 단계에서의 검사 강화, 고위험 품목에 대한 선별적 검역 등 제도 개선에 나설 예정입니다.
특히 이번 사건은 어린이 간식에서 마약 성분이 검출된 드문 사례인 만큼, 소비자 불안 해소를 위한 투명한 정보 제공과 품질 통제 강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 정리하며

이번 사건은 단순한 수입 제품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브랜드의 품질관리 체계와 식품 유통 구조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소비자들은 앞으로도 정식 수입 라벨 확인, 포장지 생산 코드 확인, 의심 시 식약처 또는 수입사 고객센터에 문의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Not Found life 님의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