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일본 조선업계 ‘합병 러시’… 한국 조선업에 닥친 거대한 도전

중국·일본 조선업계, 초대형 ‘합병 카드’ 꺼내다

A manga-style illustration depicting the rise of a super-sized Chinese shipbuilding corporation, with towering cranes and a colossal ship under construction.

2025년 들어 중국과 일본 조선업계에서 동시에 대형 합병 이슈가 터졌습니다.
각국의 1위·2위 기업들이 손을 잡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우려는 전략인데요,
이는 단순한 기업 간 통합을 넘어, 한국을 비롯한 경쟁국들을 겨냥한 본격적인 세력 결집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중국 CSSC, ‘초거대 조선사’ 탄생 눈앞

7월 5일, **중국 국영 조선사 CSSC(중국선박그룹)는 자회사 2곳(중국중공업그룹·중국선박중공업)과의 흡수 합병에 대해 상하이증권거래소로부터 승인을 받았습니다.

현재는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의 최종 등록 절차만 남아 있으며, 등록이 완료되면 법적 효력을 갖춘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조선사가 공식 출범하게 됩니다.

이번 합병은 중국 정부의 국가 산업 전략이 고스란히 반영된 프로젝트로, 자산·매출·수주량 기준 세계 1위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합병이 완료되면 글로벌 수주 점유율 약 17%, 그리고 LNG선, 해양플랜트, 군함 등 고부가 선박 전 분야를 아우르는 통합 수주·생산 체계를 갖추게 됩니다.

사실상 세계 조선시장의 주도권을 쥘 수 있는 초대형 국영 조선사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한국과 일본 역시 기술력뿐만 아니라 규모의 경제와 공급망 조직력 측면에서도 강한 압박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 이마바리조선 + JMU, 사실상 통합 선언

한편 일본에서는 지난 6월 25일, 이마바리조선이 일본마린유나이티드(JMU)의 지분을 기존 30%에서 60%로 확대하며 자회사화를 공식화했습니다.

양사 통합 시 일본 내 시장 점유율은 50% 이상, 전 세계 기준으로는 4위권 조선사로 부상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번 결정은 조선산업 경쟁력이 약화된 일본이 기술력 통합과 수익성 개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회복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일본 정부, 국영 조선소 설립까지 본격화

일본 정부는 민간 기업의 통합에 더해 국영 조선소 설립 계획도 추진 중입니다.

약 1조 엔(한화 약 9조 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해 국영 도크를 건설하거나 기존 시설을 개조하고, 민간에 운영을 위탁하는 공공-민간 협력형 모델을 구상하고 있어요.

이 같은 정책은 단순한 산업 진흥을 넘어, 조선업을 국가 경제안보 핵심 산업으로 끌어올리려는 시도로 해석됩니다.

선체를 ‘특정중요물자’로 지정하고, 재정 지원 확대, 기술 인력 양성, 외국 인력 수용 확대 등의 정책도 함께 병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과의 공급망 협력 강화와도 맞물려, 중국·한국을 동시에 견제하려는 포석으로 분석됩니다.


수주 점유율 경쟁… 중국은 질주, 한국은 ‘고부가’로 맞선다

2025년 상반기 기준, 글로벌 조선 수주 시장은 중국의 독주, 한국의 고부가 방어 전략, 일본의 침체라는 구도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 중국: 1~6월 누계 수주량 약 1,004만 CGT(370척) / 점유율 52%
  • 한국: 487만 CGT(113척) / 점유율 25%
  • 일본: 105만 CGT(35척) / 점유율 약 6%

중국은 물량과 가격 경쟁력으로 글로벌 시장을 장악하고 있고,
한국은 LNG선, 초대형 컨테이너선 등 고부가가치 선종 중심의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수익성을 방어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아직 확실한 반등 기회를 잡지 못한 상태입니다.


한국 조선업, 기술력만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다

한국은 오랜 기간 고부가 선박과 기술력을 앞세워 세계 시장을 이끌어왔지만,
중국과 일본의 통합 전략가격 경쟁, 생산 효율성, 조직 규모 측면에서 한국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특히 LNG선, 컨테이너선, 해양플랜트 분야에서는 단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며,
지속적인 R&D 투자, 친환경·스마트 조선 기술 강화, 전문 인력 확보와 공급망 안정화 등이 더욱 시급해졌습니다.

또한 중소형 조선소들의 구조조정과 산업 재편 가능성도 높아진 만큼,
정부 차원의 전략적 지원과 산업계의 체질 개선이 동시에 요구되는 시점입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