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72사단 이종화 준장의 갑질 의혹 확산…

7월 21일 임태훈 군인권센터 소장 사진

2025년 7월 21일, 군인권센터는 충격적인 기자회견을 열고 육군 제72보병사단장 이종화 준장(육사 48기)에 대한 복수의 내부 제보를 공개했습니다.

이종화 준장은 2024년 12월 31일 사단장으로 부임한 직후부터 부하들에게 각종 사적 업무를 지시했으며, 공금 유용, 종교 강요, 폭행 등 복합적인 갑질 행위를 했다는 내용입니다.

기자회견에서 군인권센터는 “이종화 준장은 군장에 가득 찰 정도로 두릅을 따오게 하고, 닭장을 짓게 하며, 예산으로는 개인 필라테스 기구를 샀다”고 구체적으로 밝혔습니다.

해당 의혹이 사실이라면, 이는 단순한 위계질서 문제를 넘어 군 조직 전반의 윤리성과 시스템에 심각한 허점을 드러낸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체력단련 시간에 ‘두릅 채취’, 공관 뒤엔 ‘닭장 설치’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이 사단장은 체력단련 시간 중 병사들에게 두릅을 채취하도록 지시했으며,
군장 하나에 가득 찰 정도로 따오게 한 뒤, 해당 두릅을 포장까지 시켰습니다.

또한 공관 뒤편에 닭장을 만들겠다며, 병사들에게 수동톱으로 나무를 자르게 하고
하루 수 시간씩 작업하게 하여, 외주나 자재 구매 없이 손수 닭장을 완성하도록 했다는 증언도 있습니다.

이는 군인에게 요구할 수 있는 합리적 지시를 벗어난 것으로,
군 지휘관의 권한을 사적으로 악용한 전형적인 갑질 사례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공관 가구 예산을 ‘필라테스 기구’로?…예산 유용 의혹

이종화 준장은 공관 소파 구입 명목으로 180만원의 예산을 신청했으나,
실제로는 이 중 약 80만원을 개인 필라테스 기구를 구매하는 데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는 공관의 필수 품목과 무관한 개인 사치 물품에 공금을 유용한 행위로,
정상적인 예산 집행 절차를 어긴 심각한 직권 남용 사례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군인권센터는 이를 두고 “단순 편의가 아니라, 명백한 군 자산 사적 전용“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주말 교회 출석 강요…종교 강요와 관용차 사적 사용

이 사단장은 매주 일요일 부대 영내 교회에 출석했으며,
이 과정에서 한 부하에게 관용차 운전을 지시하고 동행을 강요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단장의 배우자가 차량에 함께 동승한 경우도 있었다는 증언이 있으며,
타 종교를 믿는 다른 병사에 대해서는 “임무인데 빠지는 게 맞느냐”며 출석을 압박한 정황도 있습니다.

또한 병영 내 식사 자리에서 “쟤는 주말에 수행도 안 나와”라고 말하며,
교회 출석 여부를 사실상 근무 평가와 연결짓는 발언을 지속적으로 해왔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종교 자유 침해와 공적 차량 사적 이용이라는 이중 위법 소지를 모두 안고 있습니다.


프리즈비 경기 중 폭행…“빨리 오라더니 뒷허벅지를 걷어찼다”

2025년 4월 초, 이 사단장은 예하 부대장들을 불러 얼티밋 프리즈비 경기를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경기 중 한 병사가 넘어져 부상을 입자, 곧바로 다른 병사에게 “빨리 와라”고 소리친 후 뒷허벅지를 발로 걷어찼다는 충격적인 증언이 나왔습니다.

당시 현장에 있던 인원들은 아무 말도 하지 못한 채 정적을 유지할 정도로 충격을 받은 상태였다고 합니다.
해당 행위는 명백한 물리적 폭력이며, 지휘관이 부하에게 행사한 공공연한 인권 침해로 볼 수 있습니다.


익명 신고는 반려…그 뒤엔 ‘인사 보복’ 정황까지

피해자들은 위 내용들을 국방부 익명신고 시스템에 제보했으나,
“익명 신고는 성실 의무를 담보할 수 없다”는 이유로 신고가 반려됐습니다.

이후 이 사단장은 부사관 180여 명 중 103명에 대해 보직 재검토를 지시했습니다.

군인권센터는 이를 실질적인 인사 보복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군 내부의 정의 실현 구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사건을 넘어, 군 조직 내 견제·감시 시스템 전반의 붕괴를 드러내는 구조적 문제라 할 수 있습니다.


단순 일탈 아닌 구조적 문제…군 조직의 각성 필요

현재 육군은 이종화 사단장을 직무에서 배제하고, 감찰실이 현장 조사를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이번 사건은 결코 하나의 개인 일탈로 축소해서는 안 되는 사안입니다.

사적 지시, 예산 유용, 종교 강요, 물리적 폭력, 인사 보복까지 이어진 정황은


군 내 위계문화가 어떻게 시스템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더 이상 사후 대처로만 끝나서는 안 됩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군 지휘체계, 예산 감시, 인권 보호 체계 전반에 대한 제도 개혁이 반드시 뒤따라야 합니다.


📚 관련 기사 출처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