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SKT 해킹 사고 이후 유심을 교체한 이용자들 사이에서 모바일 티머니 잔액이 사라졌다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50대 남성 A씨도 유심을 교체한 직후 모바일 티머니에 충전해두었던 약 3만 원이 사라졌다고 밝혔는데요.
이는 선불 충전형 티머니의 특성상 잔액 정보가 유심에 직접 저장되기 때문에, 유심을 제거하거나 폐기하기 전에 환불 신청을 하지 않으면 해당 금액이 복구 불가 상태로 소멸되기 때문입니다.
티머니의 ‘낙전 수입’, 우리가 놓친 돈의 행방
환불되지 못한 티머니 잔액은 티머니 측에서 ‘낙전 수입’으로 처리됩니다. 낙전 수입이란, 사용자가 충전해 놓은 금액 중 실제 사용되지 않고 사라진 금액을 의미하며, 일종의 부가 수익으로 잡힙니다.
실제로 티머니의 낙전 수입은
- 2021년: 183억 원
- 2022년: 190억 원
- 2023년: 207억 원
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작년 기준, 이로 인식된 금액은 272억 원으로, **연간 영업이익(142억 원)**보다 훨씬 많은 규모입니다. 결과적으로 우리가 놓친 잔액이 티머니의 주요 수익원이 되어온 셈입니다.
티머니 × SKT 공동 대응책 발표 (2025년 한정)
이번 사고를 계기로 티머니와 SKT는 일회성 예외 대응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 SKT 가입자 한정 환불 수수료 면제
- 일반적으로는 500원 또는 4% 수수료 발생
- 단, 2025년 말까지는 SKT 고객에 한해 전액 환불 가능
- ✅ 폐기된 유심이 없어도 환불 가능
- SKT 고객센터에서 ‘유심 폐기 확인서’ 발급 시 예외 처리 가능
상황별 티머니 환불 방법 가이드
1️⃣ 선불형 티머니 (유심 교체 전)
- 모바일티머니 앱 접속
- 사이드 메뉴 → 교통카드 → 잔액 환불 신청
- 계좌 환불 완료 후 유심 교체
- 새 유심에 잔액 재충전
2️⃣ 후불형 티머니 (유심 교체 전)
- 모바일티머니 앱 접속
- 사이드 메뉴 → 교통카드 → 충전형 서비스 전환 선택
- 또는 카드 삭제로 후불청구형 서비스 중단
- 유심 교체 후 새 유심에 재등록
※ 후불형 티머니 이용자는 반드시 유심 교체 전에 서비스 전환 또는 카드 삭제를 진행해야 유심 변경 후에도 정상 이용이 가능합니다.
3️⃣ 유심 이미 폐기한 SKT 고객
- SKT 고객센터 → 유심 폐기 확인서 발급 요청
- 고객정보 제공에 동의 후 확인서 발급
- 확인서를 티머니 측에 전달
- 티머니 고객센터에서 결제 정보 확인 후 환불 처리
잔액 환불 전 체크포인트
- 잔액이 수만 원 수준이라면, 일반적으로는 환불 시 수수료(최대 4%)가 발생합니다.
그러나 SKT 해킹 사고로 유심을 교체한 경우, 2025년까지 수수료가 면제되므로 계좌 환불이 가장 유리합니다. - 유심 제거 전에는 무조건 환불 신청 먼저!
- 이미 유심을 버렸더라도 포기하지 마세요. SKT 고객센터에 문의하면 해결 방법이 있습니다.
고객센터 연락처 안내
☎ SKT 고객센터
- 114 (SKT 휴대폰에서 무료)
- 080-011-6000
→ “티머니 잔액 환불용 유심 폐기 확인서 발급 요청”이라고 상담원에게 전달하세요.
☎ 티머니 고객센터
- 1644-0088
→ SKT에서 전달한 확인서를 기반으로 결제 이력 조회 후 환불 진행이 가능합니다.
마무리하며
이번 SKT 해킹 사고는 불행한 일이었지만, 그 덕분에 모바일 티머니 잔액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금 돌아보게 됐습니다.
핵심은 간단합니다.
유심을 버리기 전에 반드시 환불 신청부터 하세요.
그리고 이미 늦었다고 해도 괜찮습니다. SKT 가입자라면 2025년까지 예외 환불 혜택이 있으니 지금이라도 신청해보세요.
혹시 주변에 같은 문제를 겪은 분이 있다면, 이 정보를 꼭 나눠주세요.
비록 작은 돈일지라도, 우리가 충전한 돈은 우리의 자산입니다. 그냥 사라지게 둘 수는 없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