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불꽃축제 앞두고 바가지요금 논란 재점화

축제 전부터 불붙은 요금 논란

Comic-style illustration of a motel owner demanding extra payment from a young male guest ahead of the Busan Fireworks Festival

2025년 11월 9일 개최 예정인 ‘부산 불꽃축제’를 앞두고, 부산 수영구 광안리 인근 숙박업체들이 요금을 과도하게 인상하거나 예약 후 가격을 일방적으로 변경하는 사례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실제 다수 제보에 따르면 축제 당일 숙박 요금이 평소보다 2~3배 이상 뛰는 것은 물론, 일부 소비자는 예약 이후 “추가 요금”을 요구받는 일까지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는 단순한 가격 상승이 아닌, 소비자 권리를 침해하는 불공정 거래 행위로 해석될 수 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등에서도 관련 제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부산 불꽃축제 사진 / 셔터스톡

예약 완료 후 바뀐 금액… 135만 원 추가 요구 사례

부산 불꽃축제 사진 / 셔터스톡

서울에 거주 중인 20대 직장인 A씨는 광안리 해변 바로 앞 숙소를 65만 원에 예약했으나, 며칠 뒤 숙소 측으로부터 “불꽃축제 날짜와 겹친다”는 이유로 135만 원의 추가요금을 요구받았습니다.

업체 측은 “추가 요금을 내지 않으면 예약이 자동 취소되며 입실도 불가능하다”고 통보했으며, 결국 A씨는 총 200만 원을 지불해야만 숙박이 가능한 상황에 놓였습니다.

이러한 행위는 이미 계약이 성립된 이후 일방적으로 조건을 변경하는 것으로, 전자상거래법 및 공중위생관리법 위반 소지가 있는 행위입니다.


법은 있으나 ‘실효성’은 의문

대한민국 「공중위생관리법」은 숙박업소가 가격을 명확히 게시하고, 게시된 요금만을 청구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위반 시 6개월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 처분이 가능하나, 실제 단속이나 처벌은 극히 드문 상황입니다.

결국 현행법은 존재하되, 소비자 보호의 실효성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반복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년 유사 사례가 되풀이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업주 측 사정… 그러나 소비자 전가 방식은 문제

한편, 숙박업계에서는 노쇼 고객으로 인한 반복적 손실을 언급하며, 이런 상황이 ‘추가 요금 요구’의 배경이 되었다고 주장합니다.

실제로 불꽃축제나 대형 이벤트 기간에는 예약 후 나타나지 않는 고객 때문에 객실을 재판매하지 못하고 손실이 발생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소형 게스트하우스나 개인이 운영하는 숙소들은 사전 방어 차원에서 요금 인상을 시도하게 된다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이런 업계의 어려움이 있다 하더라도, 이미 결제를 완료한 고객에게 축제를 핑계로 수십~수백만 원의 추가 요금을 부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명백한 ‘바가지 요금’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면 업계와 지자체가 협의해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방법이지, 소비자에게 책임을 떠넘겨선 안 됩니다.


반복되는 패턴, 결국 ‘지역 브랜드 가치’에 타격

유사한 문제는 서울 여의도 불꽃축제, 제주도 성수기 시즌 등에서도 반복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행위가 누적될수록 지역 관광에 대한 신뢰도는 점점 하락하며, 장기적으로 지자체 이미지와 관광 수익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소비자 반발 역시 거세지고 있으며, “이럴 거면 안 가겠다”는 거부감이 형성되는 점을 지자체와 업계는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소비자가 스스로 지킬 수 있는 방법

  • ✅ 예약 전 환불 및 요금 규정 꼼꼼히 확인
  • ✅ 축제·성수기에는 가격 이중 확인 필수 (공식 홈페이지·비교 플랫폼 등)
  • ✅ 요금 인상 시 캡처 및 증거자료 확보
  • ✅ 필요 시 소비자원 1372 민원 접수

“진짜 빛나는 건, 공정한 거래”

축제를 핑계 삼은 비양심적인 상행위가 반복된다면, 그 피해는 단기적으로는 소비자에게, 장기적으로는 지역 사회 전체에 돌아오게 됩니다.

한순간의 이익을 위해 신뢰를 저버리는 관행은 부산이라는 도시의 이미지에도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제는 지자체가 가격정보 공개 의무화, 단속 강화 등 실질적인 대응책을 마련하고, 소비자 역시 더욱 똑똑한 선택과 행동을 통해 자발적 방어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