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753만 명, 대한민국의 미래 시나리오
![A cartoon-style digital illustration depicting a young man sweating and burdened as he carries an elderly man on his back, surrounded by many elderly people using canes and wheelchairs in a city park setting.]](https://i0.wp.com/notfoundlife.com/wp-content/uploads/2025/07/%EA%B3%A0%EB%A0%B9%EA%B5%AD%EA%B0%80%EC%9D%B4%EB%AF%B8%EC%A7%801.jpg?resize=1024%2C1024&ssl=1)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발표한 장기 인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과 같은 출산율 저하와 인구 감소 추세가 지속될 경우 2125년 한국 인구는 753만 명까지 줄어들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현재 인구의 14.6%에 불과한 수치이며, 서울 인구보다도 적은 규모입니다.
보고서는 코호트 요인법에 따라 100년간 인구구조 변화를 추계했으며,
중위 시나리오에서도 인구는 1115만 명, 가장 낙관적인 시나리오에서도 1573만 명에 그친다고 분석했습니다.
‘역피라미드’가 된 인구구조
단순히 인구가 줄어드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노년층 비중이 급증하면서 부양 부담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역피라미드 사회’가 도래하게 됩니다.
- 현재(2025년):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노인 약 30명 부양
- 2045년: 62명
- 2100년: 140명
이런 인구구조는 사회복지 시스템 붕괴 및 생산성 저하, 청년층 과세 부담 가중 등 다방면에서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복지 재정, 이제는 지속 가능성 위협
고령화는 필연적으로 복지 지출의 증가로 이어집니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공공사회복지지출은 337조 4000억 원,
GDP 대비 약 15.2% 수준이며, 이는 OECD 회원국 중 다섯 번째로 낮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증가 속도는 빠릅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복지부의 전망에 따르면:
- 2050년: GDP 대비 사회복지 지출 20% 내외
- 2065년: 최대 26.9%까지 확대될 가능성
- 금액 기준으로는 약 650조 원 이상이 연간 복지 재정으로 투입될 수 있음
이러한 추세는 국가 재정 구조를 근본적으로 흔들 수 있는 심각한 변수로 작용합니다.
문제는 예측이 아니라 ‘대응’입니다
대한민국은 이미 구조적 인구 감소 궤도에 들어섰고, 미래는 ‘예측’이 아니라 ‘대응’의 영역이 되었습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숫자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이를 돌파할 정책적 상상력과 실행력입니다.
✅ 정책 제안:
- 출산율 제고: 주거·교육·돌봄 패키지
- 고령층 경제활동 확대: 정년 연장, 재취업 촉진
- 이민 정책 재구성: 고급인력 중심 유입 확대
- 디지털·AI 중심의 고생산성 산업 전환
지금이 골든타임입니다
‘인구절벽’은 먼 미래가 아닌 이미 시작된 현재의 흐름입니다.
대한민국이 지속 가능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노령화 속도를 줄이고, 부양 비용을 분산하며, 복지 재정의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적 전환이 절실합니다.
💡 지금의 선택이 10년 뒤, 100년 뒤 대한민국의 존속을 좌우할 수 있습니다.